애플(Apple), 파리 디자인 마이애미에서 ‘미래의 디자이너들’ 공개
애플(Apple)은 런던의 디자이너 마르코 캄파르도(Marco Campardo), 파리 듀오 마리 & 알렉상드르(Marie & Alexandre), 상하이의 두이 한(Duyi Han), 그리고 베트남계 미국인 도예가 졸리 응오(Jolie Ngo)를 첫 ‘디자이너스 오브 투모로우(Designers of Tomorrow)’ 전시에 선정했다.이들 네 명의 디자이너 작품은 오늘 개막한 파리 디자인 마이애미(Design Miami.Paris)에서 전시되었으며, 디자인 스튜디오 에이제이오 프로젝트(AGO Projects)의 공동 설립자 로드맨 프리맥(Rodman Primack)이 큐레이션을 맡았다.아이패드를 활용해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는 신진 디자이너들은 애플의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부사장 앨런 다이(Alan Dye), 산업 디자인 부사장 몰리 앤더슨(Molly Anderson), 그리고 디자이너 사빈 마르셀리스(Sabine Marcelis), 페이 투굿(Faye Toogood), 마티외 르아느르(Mathieu Lehanneur), 새뮤얼 로스(Samuel Ross)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 의해 선정됐다.또한 큐레이터 에릭 첸(Aric Chen), 기록 보관가 에르베 르모안(Hervé Lemoine), 아틀리에 드 파리(Ateliers de Paris) 창립자 린 코헨-솔랄(Lyne Cohen-Solal), 디자인 마이애미 CEO 젠 로버츠(Jen Roberts)도 심사위원단에 함께했다.마르코 캄파르도(Marco Campardo), 애플 ‘디자이너스 오브 투모로우’ 전시 위해 원형 테이블 제작이번 전시를 위해 캄파르도는 파리의 갤러리 크레오(Galerie Kreo)와 협업하여 자신의 젤로(Jello) 컬렉션에 새로 추가되는 원형 테이블을 제작했다. 노란색으로 완성된 이 작품은 마치 버터처럼 보이도록 디자인됐다.캄파르도는 디자인 매체 디진(Dezeen)에 “이 작품의 독특함은 외형에 있다. 완성된 형태는 거대한 버터 덩어리처럼 보인다”고 말했다.그는 “마치 먹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조각 작품이자 가구로 기능한다. 젤로 컬렉션의 영감은 어느 날 아침, 버터를 바른 토스트를 먹던 중 떠올랐다”고 덧붙였다.“버터 포장을 벗기자 표면에 남은 질감이 눈에 들어왔고, 그 순간 ‘몰드(mould)’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몰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물질의 형태를 빚는지, 그리고 몰드 자체가 어떻게 독창적인 형태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게 됐다.”고 말했다.마리 & 알렉상드르(Marie & Alexandre), 르 코르뷔지에 아파트에서 영감 받은 모듈형 가구 선보여프랑스 디자이너 마리 코르닐(Marie Cornil)과 알렉상드르 윌롬(Alexandre Willaume)은 자신들의 스튜디오 ‘마리 & 알렉상드르(Marie & Alexandre)’ 이름으로 이번 전시에 두 점의 작품을 출품했다.두 작품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상징적인 마르세유 시테 라디우즈(Cité Radieuse) 아파트 설계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됐다. 하나는 세 개의 모듈형 가구를 쌓아 만든 토템 형태의 구조물이며, 다른 하나는 열성형 유리(thermoforming glass)로 만든 화병이다.모듈형 상자에는 분홍색과 노란색의 스트립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이 겹치는 지점에서는 제3의 색상이 만들어진다.프랑스 듀오, 화병도 함께 선보여졸리 응오(Jolie Ngo) 또한 이번 전시에 두 점의 작품을 출품했다. 전시의 중심에는 ‘체리 블로섬 앤 히말라얀 솔트(Table Lamp in Cherry Blossoms and Himalayan Salt)’라는 테이블 램프가 놓였다. 이 작품은 조각적인 도자 베이스와 선명한 핑크빛의 3D 프린팅 플라스틱 갓이 결합된 형태다.이와 함께 응오는 ‘비트윈 월즈(Between Worlds)’라는 테마에서 영감을 받아, 베트남 실크 등불을 모티프로 한 3D 프린팅 화병 ‘랜턴 베슬(Lantern Vessel)’을 선보였다.졸리 응오(Jolie Ngo), 3D 프린팅 갓을 얹은 도자기 램프 제작상하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두이 한(Duyi Han)은 전시의 마지막 작품으로 ‘이중 표면 거울(dual-surface mirror)’을 선보였다.흰색 거울에는 해부학 도해와 오컬트 문서를 참고해 제작된 일러스트가 새겨져 있으며, 그 주변에는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심리적으로 암시적인 문구(psychologically suggestive phrases)’들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두이 한(Duyi Han), ‘투웨이 미러(two-way mirror)’ 작품 선보여각 디자이너는 아이패드를 디자인 과정에 통합해 활용하는 방식과 함께, 그들의 창작 세계를 보여주고자 한 심사위원단의 의도에 따라 선정됐다.전시 공간 가장자리에 배치된 여러 대의 아이패드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작업 과정을 담은 영상이 재생되었다.캄파르도(Marco Campardo)는 “기술은 언제나 내 작업의 일부였다. 10대 시절부터 애플 제품을 사용해왔는데, 부모님 차고에는 아직도 내 첫 번째 맥인 아이맥 G3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현재 나는 매일 애플 기기를 사용한다. 특히 최근에는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런던에서 이동 중 스케치를 할 때 특히 유용하다”며 “이 기술과 함께 성장했기 때문에 이제는 마치 내 일부처럼 느껴진다”고 덧붙였다.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창작 과정을 지원하는 방식이 점점 더 정교하고, 반응적이며, 때로는 완전히 예기치 않은 형태로 발전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고 말했다.졸리 응오(Jolie Ngo), 3D 프린팅 화병도 함께 선보여큐레이터 로드맨 프리맥(Rodman Primack)은 디진(Dezeen)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전시가 “신진 디자이너들의 작품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밝혔다.프리맥은 “디자이너스 오브 투모로우(Designers of Tomorrow)는 전 세계 신진 디자이너들의 창의성을 조명하는 프로젝트”라며 “이 프로그램은 디자인 마이애미(Design Miami)와 애플이 함께 새로운 시각과 감각을 발굴하고자 하는 초기 단계의 협력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발전시키기 위해 누구나 접근 가능한 기술을 활용하는, 이제 막 커리어를 시작한 디자이너들에게 주목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한편 애플은 최근 애플 파크(Apple Park)에서 네덜란드 디자이너 사빈 마르셀리스(Sabine Marcelis)가 아이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세 점의 거울 및 수지 설치 작품을 공개하기도 했다.촬영: 엘로키 크로케(Eloqie Croquet)‘디자이너스 오브 투모로우(Designers of Tomorrow)’ 전시는 2025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 파리의 루 드 뤼니베르시테(Rue de l’Université) 51번지에 위치한 메종 호텔(L'hôtel de Maisons)에서 열리며, 전 세계 다양한 디자인 행사와 전시는Dezeen 이벤트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게시물은 KIDP와의 협약을 통한 Dezeen 콘텐츠의 번역본입니다.· ChatGPT와 DeepL 번역기를 활용하여 번역되었으며 이로 인해 일부 문맥이나 표현이 원문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외부 채널에 게재할 경우번역 유의사항과 함께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2025-10-28
31